파일:아이콘_상위문서.svg 상위 문서: 서울-부산


목차

1. 개요
2. 역사
3. 경로
3.1. 추풍령 루트
3.1.1. 중부선(정석)
3.1.2. 경부선
3.2. 상주 루트
3.3. 영천 이후
3.4. 무진장 루트
4. 일주기
4.1. 사용 가능
4.2. 사용 불가능
5. 여담

1. 개요 [편집]

서울에서 부산까지의 시내버스 여행.

대한민국의 수도서울특별시를 출발하여 제2의 도시로 불리는 부산광역시까지 주 도시를 여행하는 점에서 국내의 시내버스 여행 중 가장 유명하고 흔히 시도되는 경로이다.

2. 역사 [편집]

이 경로는 2001년 9월에 모 버스동호인이 시내버스만을 이용해 3일에 걸쳐 이동했던 것이 시작이며, 또한 시내버스 여행 자체의 시작이기도 하다.

2019년 말 아성교통의 전 노선이 개편되었는데, 핵심적으로 이용되던 청천-중벌리(현 323번) 노선의 출발시간이 10:35 에서 09:10 출발로 변경되었다. 상주 경유 루트의 핵심 노선이었던 만큼 해당 개편으로 상주 루트 대부분이 폐기되었으며, 결국 상주 루트의 난이도가 대폭 상승하며 거의 불가능해졌다.

3. 경로 [편집]

3.1. 추풍령 루트 [편집]

3.1.1. 중부선(정석) [편집]

중부선을 따라가는 경로이며, 서울에서 부산까지 당일치기 시내버스 여행에서는 가장 정석처럼 사용되는 경로이다.

중부선 정석 루트의 핵심은 안성에서 17번 첫차를 타야한다. 수도권 경계를 넘어가는 버스이자, 하루 단 11회 운행하는 중요한 노선이기 때문이다.

3.1.2. 경부선 [편집]

3.2. 상주 루트 [편집]

과거 추풍령 루트와 더불어 서울-부산 시내버스 여행을 양분했지만, 2019년 12월 청천-용화 버스 시간 개정 이후로 거의 쓰이지 않는 루트가 되었다.

현재는 안성에서 06:10 100번을 타고 배티고개를 넘어 배티마을에서 07:10 경에 오는 321번을 탄 다음 , 평일에 한해[1] 진천에서 07:30 711번을 낮은 확률로 잡은 뒤 청주로 가서 또 08:20 기점 출발 211번을 타서 09:40 까지 미원에 도착하길 빌어야 한다. 현재 심야대기 없이 안성에 06:10 까지 도착할 수 있는 방법은 없으므로 심야대기가 필수다. 이후 미원을 뚫으면 미원에서는 09:40 111번을 타고 보은이나 학림으로 가면 된다.

문제는 배티고개의 길은 매우 험해 체력이 좋은 사람도 상당히 체력을 많이 잡아먹는다. 당연한 것이, 오르막 13% 2.1km 에다가 내리막 12% 1.3km를 40-45분 만에 가야하니 체력적으로 매우 부담이 될 것이다. 즉, 해당 루트는 체력이 좋지 않으면 할 수 없거나 하더라도 아슬아슬하게 고개를 넘어 겨우겨우 321번을 타게 된다. 거기에 이후 타는 버스들도 시간이 매우 촉박하기에, 사실상 고생과 함께 운도 따라야 하는 극한의 경로이다.

09:40 111번을 타고 학림에 내리면 10:10 쯤 되며, 이후 10:10 보은읍내 출발 320번을 타고 용화로 가면 10:40에 도착하고 이후 11:10 930번을 타고[2] 상주로 간다. 보은읍내까지 탈 경우 35-40분 동안 대기시간을 가지다가 10:55 216번을 타고 화령으로 넘어간 다음 11:50 930번[3]을 타고 상주로 가게 된다.

상주 이후에는 구미경유와 의성경유로 나뉘며, 구미경유는 또 왜관경유와 경운대경유, 의성경유는 탑리경유와 군위읍경유로 나뉜다.

우선 의성경유를 보자면 13:05 상주 출발 460번을 타고 안계로 가서 안계에서 14:30 270을 타고 도리원이나 의성으로 간다. 이 때 도리원에 내릴 것인지 의성에 내릴 것인지 선택해야 하는데, 의성경유는 이후 탑리에서 연계가 많이 빡세므로 753 탑승을 목표로 하는게 아니라면 도리원경유가 권장된다.

3.3. 영천 이후 [편집]

3.4. 무진장 루트 [편집]

4. 일주기 [편집]

4.1. 사용 가능 [편집]

4.2. 사용 불가능 [편집]

5. 여담 [편집]

[1] 평일과 주말 상관없이 진천에서 07:50 200번을 타고 증평에서 08:20-08:25 출발 203-1번을 타는 방법도 있었으나, 200번의 경유지 증가로 현재는 불가해졌다.
[2] 과거에는 11:05 출발이었지만, 화평으로 연장되어 화평 11:05, 용화 11:10 출발로 바뀌었다.
[3] 용화에서 출발한 노선이랑 같은 차다.
[청천] [4] [5] [6] [7] 청천-중벌리간 시간표 개정으로 막혔다.